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세계 태권도 연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세계 태권도 연맹(WT)은 1973년 대한민국에서 창설된 국제 태권도 기구이다. 1988년 서울 올림픽과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채택된 후, 2000년 시드니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이 되었다. WT는 총회, 집행위원회, 회장 및 사무국으로 구성되며, 5개의 대륙 연맹을 산하에 두고 2023년 기준 213개 국가 협회가 가입되어 있다. WT는 태권도 품새와 겨루기 경기를 관장하며, 겨루기는 풀 컨택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WT는 2017년 명칭을 변경했으며, WT 세계 랭킹 시스템을 운영하고 올림픽 태권도 종목을 관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권도 행정 기구 - 아시아 태권도 연맹
    아시아 태권도 연맹은 아시아 지역 태권도를 관할하는 국제 스포츠 연맹으로,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등의 협회가 가입되어 활동하며, 태권도 종주국인 대한민국이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 태권도 행정 기구 - 유럽 태권도 연맹
    유럽 태권도 연맹(ETU)은 유럽에서 태권도 선수권 대회를 주최하며, WT 스타일의 태권도 정신을 강조하고 띠 승급 심사 시스템을 통해 수련생의 숙련도를 평가한다.
  • 세계 태권도 연맹 - 아시아 태권도 연맹
    아시아 태권도 연맹은 아시아 지역 태권도를 관할하는 국제 스포츠 연맹으로,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등의 협회가 가입되어 활동하며, 태권도 종주국인 대한민국이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 세계 태권도 연맹 - 유럽 태권도 연맹
    유럽 태권도 연맹(ETU)은 유럽에서 태권도 선수권 대회를 주최하며, WT 스타일의 태권도 정신을 강조하고 띠 승급 심사 시스템을 통해 수련생의 숙련도를 평가한다.
  • 1973년 설립된 스포츠 단체 - 아시아 육상 연맹
    아시아 육상 연맹은 아시아 지역 육상 종목을 관장하며, 육상 발전과 교류를 목표로 다양한 대회를 개최하고 훈련 지원, 도핑 방지 활동을 추진하고 있으나, 재정 투명성 부족 및 특정 국가 편향 의혹에 대한 비판도 받고 있다.
  • 1973년 설립된 스포츠 단체 - 아프리카 육상 연맹
    아프리카 육상 연맹은 아프리카 대륙의 육상 경기를 관할하며, 여러 국가 육상 연맹을 회원으로 두고 다양한 육상 대회를 주최한다.
세계 태권도 연맹
개요
명칭월드 태권도 (World Taekwondo, WT)
원어 명칭World Taekwondo
이전 명칭세계 태권도 연맹 (World Taekwondo Federation, WTF)
약칭WT
종류국제 경기 연맹
스포츠무술 및 스포츠
설립일1973년 5월 28일
본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55, 스위스 로잔
활동 지역전 세계
사용 언어영어, 한국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회원213개 국가 협회 (2023년 5월 기준)
웹사이트월드 태권도 공식 웹사이트
조직
회장조정원
상위 기관국제 하계 올림픽 종목 협의회
하위 단체범아메리카 태권도 연맹
아시아 태권도 연맹
아프리카 태권도 연맹
오세아니아 태권도 연맹
유럽 태권도 연맹

2. 역사

1973년3월 최초의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국기원에서 개최되었다. 정치적인 이유로 국제 태권도 연맹(ITF)에서 분리된 후, 1973년5월 28일 대한민국 국기원에서 세계 35개국 대표가 모여 창설 회의를 열고 세계 태권도 연맹(World Taekwondo Federation, WTF)을 창설하였다.[29] 초대 총재로는 김운용이 선출되었으며, 임기는 4년이었다. 사무국은 1973년6월 3일에 구성되어 운영을 시작했다.

1974년10월 8일, 세계 태권도는 국제경기연맹총연합(GAISF, 현 스포츠 어코드)에 가입했다. 이후 각 대륙별 연맹이 창설되었는데, 유럽(1976년 5월), 아시아(1976년 10월), 범아메리카(1978년 9월), 아프리카(1979년 4월) 순으로 설립되었다. 오세아니아 태권도 연맹은 2005년7월 16일 다섯 번째 대륙 연맹으로 인정받았다.

1980년7월 17일 모스크바에서 열린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제83차 총회에서 세계 태권도를 인정하면서 올림픽 종목 진입의 발판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태권도는 1988년 서울 올림픽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었다.[29] 1994년9월 4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103차 IOC 총회에서는 태권도를 2000년 시드니 올림픽의 정식 종목으로 채택하기로 결정했다. 이듬해인 1995년2월 15일에는 하계올림픽종목협의회(ASOIF)에 임시 회원으로 가입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태권도가 성공적으로 데뷔한 이후, IOC 집행위원회는 2004년 아테네 올림픽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도 태권도를 정식 종목으로 확정했다. 2005년7월 8일에는 2012년 런던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도 확정되었다.

2004년2월 15일 김운용 초대 총재가 사임하였고, 이후 2004년6월 11일 임시 총회에서 조정원이 제2대 총재로 선출되었다.

2017년6월 23일, 연맹은 공식 명칭을 'World Taekwondo Federation'에서 'World Taekwondo'로 변경하고, 약자도 'WTF'에서 'WT'로 변경했다. 이는 약칭 'WTF'가 영어권에서 부정적인 의미의 속어("What the fuck")를 연상시킨다는 지적에 따른 조치였다.[30][31][18][19] 본부가 있는 대한민국에서의 공식 명칭은 '''세계태권도연맹'''으로 유지하고 있다.

세계 태권도 연맹(WT)은 국기원과는 별개의 조직이며, 올림픽 외에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월드 태권도 그랑프리 등 주요 국제 대회를 주관하고 있다.

오래된 WTF 로고

2. 1. 역대 회장

순번이름국적재임 기간
1대김운용대한민국1973년 ~ 2004년
2대조정원대한민국2004년 ~ 현재


3. 조직 구조

세계 태권도의 주요 조직은 총회(GA), 집행위원회(세계 태권도 연맹 이사회), 회장, 사무국으로 구성된다. 이 외에도 집행위원회와 총회에서 정식으로 승인 또는 인정받아 세계 태권도 산하에서 운영되는 다른 조직들이 있으며, 여기에는 대륙 연맹 등이 포함된다.

총회는 세계 태권도 회원국(MNA) 대표와 집행위원회 위원들의 일반 회의로, 세계 태권도의 최고 의사 결정 기관이다. 총회의 결정은 최종적인 효력을 가진다.

집행위원회(세계 태권도 연맹 이사회)는 회장, 부회장, 사무총장, 재무, 이사들로 구성된다. 집행위원회는 세계 태권도의 조직 운영 계획 및 관리, 재정 예산 및 재정 보고서 통제 등의 책임을 진다.

회장은 총회에서 회원국 중에서 4년 임기로 선출된다. 회장은 세계 태권도를 대표하고 이끌며, 총회와 집행위원회의 의장으로서 회의 및 기타 활동을 주재한다. 또한, 태권도 스포츠 발전과 세계 태권도 운영 개선을 위해 부회장에게 임시 공식 임무를 부여할 수 있으며, 세계 태권도 위원회의 위원장과 위원을 임명하는 권한을 가진다.

사무국은 회장과 사무총장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세계 태권도 본부가 위치한 대한민국국기원에 설치되어 있다.

4. 회원국

2023년 현재 세계 태권도 연맹(WT)에는 5개 대륙 연맹(CU)에 걸쳐 213개 국가 협회(NMA)가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각 회원국은 자국의 태권도 협회를 통해 세계 태권도 연맹과 협력하며 선수 육성, 대회 개최, 심판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대한민국은 세계 태권도 연맹의 창립 회원국이자 태권도 종주국으로서 회원국 중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아프리카 태권도 연맹(AFTU) – 53개 국가 회원 협회
  • 아시아 태권도 연맹(ATU) – 44개 국가 회원 협회
  • 유럽 태권도 연맹(ETU) – 52개 국가 회원 협회
  • 오세아니아 태권도 연맹(OTU) – 19개 회원 국가 협회
  • 범아메리카 태권도 연맹(PATU) – 45개 국가 회원 협회


5. 품새

세계 태권도 연맹(WT)의 품새는 국기원의 통일 교본에 따라 표준화되어 있다. 세계 대회 등에서는 이 표준에 따라 심사가 이루어진다.

품새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태극 1장 ~ 8장 (팔괘)
  • 고려(高麗)
  • 금강(金剛)
  • 태백(太白)
  • 평원(平原)
  • 십진(十進)
  • 지태(地跆)
  • 천권(天權)
  • 한수(漢水)
  • 일여(一如)

6. 겨루기

세계 태권도 연맹(WT)의 겨루기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두 선수가 대련하여 점수로 승패를 가리는 풀 컨택트 방식의 경기이다. 경기는 주로 전자 호구 시스템(PSS, Protective Scoring System)을 사용하여 득점을 판정하지만, 심판의 판단도 반영될 수 있다.[11]

득점은 허용된 기술을 사용하여 지정된 득점 부위(몸통 또는 머리)를 정확하고 강하게 타격했을 때 주어진다. 몸통에 대한 주먹 공격, 몸통과 머리에 대한 발차기 공격이 가능하며, 회전하며 공격하는 기술에는 더 높은 점수가 부여된다. 반면, 로킥과 같은 하단 공격이나 얼굴 부위에 대한 주먹 공격 등은 금지된다. 경기 방식, 상세 득점 기준, 반칙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세계 태권도 연맹 주관 대회에서는 공정한 경쟁을 위해 선수의 체중에 따라 체급을 나누어 경기를 진행한다.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올림픽에서의 체급 구분은 아래와 같이 다르다.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체급

체급 명칭남자여자
핀급54kg 이하46kg 이하
플라이급54kg - 58kg46kg - 49kg
밴텀급58kg - 63kg49kg - 53kg
페더급63kg - 68kg53kg - 57kg
라이트급68kg - 74kg57kg - 62kg
웰터급74kg - 80kg62kg - 67kg
미들급80kg - 87kg67kg - 73kg
헤비급87kg 초과73kg 초과


올림픽 태권도 체급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남녀 각각 8체급으로 운영되지만, 올림픽에서는 아래와 같이 각각 4체급으로 통합하여 경기를 치른다.

올림픽
남자여자
58 kg급 (핀급/플라이급 통합)49 kg급 (핀급/플라이급 통합)
68 kg급 (밴텀급/페더급 통합)57 kg급 (밴텀급/페더급 통합)
80 kg급 (라이트급/웰터급 통합)67 kg급 (라이트급/웰터급 통합)
80 kg 초과급 (미들급/헤비급 통합)67 kg 초과급 (미들급/헤비급 통합)


6. 1. 경기 방식

세계 태권도 연맹 공식 호구, 팔 보호대 및 정강이 보호대


세계 태권도 연맹(WT)과 올림픽 규정에 따라, 겨루기는 두 명의 선수가 매트가 깔린 8m 팔각형 경기장에서 진행하는 풀 컨택트 종목이다.

유효한 득점은 세계 태권도 연맹이 "보호 및 채점 시스템"(PSS)으로 지정한 전자 채점 시스템을 사용하여 주로 판정된다. PSS가 사용되는 경기에서도 심판이 수동 채점 장치를 사용하여 득점을 결정할 수 있다.[11]

경기 방식과 승패 결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기본 방식: 일반적으로 경기는 2분씩 3라운드로 진행된다. 3라운드 종료 후 더 많은 점수를 얻은 선수가 승리한다.
  • 골든 포인트: 3라운드 종료 시 점수가 동점일 경우, "골든 포인트" 라운드라는 연장전을 치른다. 이 라운드에서는 먼저 득점하는 선수가 승리한다. 골든 포인트 라운드에서도 득점이 나오지 않으면, PSS(전자 호구)에 기록된 유효 타격 횟수가 더 많은 선수가 승자가 된다.
  • 3전 2선승제: 경기는 각 2분씩 3라운드로 구성되며, 각 라운드마다 더 많은 점수를 얻은 선수가 해당 라운드의 승자가 된다. 최종적으로 3라운드 중 2개 라운드를 먼저 이긴 선수가 경기에서 승리한다.[11]
  • 점수 차 승리: 2라운드 종료 시점 또는 3라운드 진행 중 어느 때라도 한 선수가 상대 선수보다 12점 이상 앞서게 되면, 경기는 그 즉시 종료되고 점수가 앞선 선수가 승리한다. 이 규칙은 2010년 10월에 재도입되었다.[14]
  • KO 및 기권승: 경기 도중 한 선수가 상대방의 유효한 공격으로 인해 KO되거나, 부상 등으로 경기를 계속할 수 없다고 판단될 경우, 상대 선수가 자동으로 승리한다.


득점은 허용된 부위에 정확하고 강력한 기술을 성공시켜야 인정되며, 가벼운 접촉만으로는 득점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2017년 1월부터 적용된 주요 득점 기준은 다음과 같다.[13]

  • 1점: 몸통 부위에 대한 주먹 공격 성공 시, 또는 상대 선수에게 '감점' 페널티가 주어질 경우
  • 2점: 몸통 부위에 대한 일반적인 발차기 공격 성공 시
  • 3점: 머리 부위에 대한 일반적인 발차기 공격 성공 시
  • 4점: 몸통 부위에 대한 회전 발차기(예: 뒤돌려차기 등 몸을 회전하며 가격하는 기술) 성공 시
  • 5점: 머리 부위에 대한 회전 발차기 성공 시


2009년부터 상대의 호구(몸통 보호대)를 발이나 주먹으로 가격하면 1점을 얻었으며, 2010년 10월부터는 회전 기술에 대한 추가 점수가 도입되었다.[14] 머리 부위에 대한 주먹 공격은 허용되지 않는다.

심판은 선수가 규칙을 위반했을 경우 '감점' 페널티를 줄 수 있다. 감점 사유에는 허용되지 않는 부위(예: 로킥과 같은 하단 공격) 공격, 얼굴 부위 찌르기(주먹 공격), 넘어지기, 경기 지연 행위 등이 포함된다. 찌르기(주먹 공격)는 몸통 부위에만 허용되며, 연속적인 찌르기는 득점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2017년 규칙 개정을 통해 일부 다리를 이용한 방어 기술(다리 막기)도 금지되었다.[13]

세계 태권도 연맹은 2016년 11월 총회에서 경기를 "더욱 화려하고 흥미롭게" 만들기 위해 겨루기 규칙을 개정했으며, 이는 2017년 1월부터 시행되었다. 이 개정을 통해 일부 득점 방식이 변경되고, 특정 기술 사용이 제한되었으며, 페널티 규정이 단순화되는 등 더 적극적인 공격을 유도하도록 변경되었다.[13]

세계 태권도 연맹(WT)이 승인한 대회에는, 선수의 소속 도장이나 수련 스타일에 관계없이 해당 국가의 WT 회원 협회에 등록된 선수라면 누구나 참가할 자격이 주어진다.

7. WT 세계 랭킹

2017년에 제정된 규칙에 따라 상위권 선수들에게 점수를 부여하는 새로운 경쟁 등급 시스템이 마련되었다. 이전에는 최대 G10이었으나, 현재는 G20으로 두 배로 늘어났다.[15] 대회의 "G" 값은 선수가 대회에서 우승했을 때 얻는 점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하계 올림픽은 G-20 대회로, 대륙 선수권 대회(G-4 대회)보다 5배 더 많은 점수를 선수에게 부여한다.[16] WT 랭킹 점수 경쟁에 참가하려면 선수들은 글로벌 라이선스를 소지해야 하며, 이를 통해 대회를 주최하고 WT에 가입된 모든 국가에서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17]

대회 등급별 부여 점수
등급대회
G1WT 승인 대회
세계 대학 선수권 대회
종합 경기 대회
세계 군인 선수권 대회
G2WT 승인 대회
유니버시아드
세계 군인 체육 대회
G4그랑프리 시리즈
대륙 선수권 대회
대륙 종합 경기 대회 (4년 주기)
G8그랑프리 파이널
G12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G20하계 올림픽



선수에게 부여되는 점수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된다.


  • '''대회 내 선수 순위 점수 × 대회 등급(G)'''


일반적으로, 패자부활전으로 인해 선수들이 같은 순위로 묶이는 하계 올림픽을 제외하고 대회 내 선수 순위별 점수는 다음과 같이 배분된다.

  • '''1위''' 선수는 10점을 얻는다.
  • '''2위''' 선수는 6점을 얻는다 (1위의 60%).
  • '''3위''' 선수는 3.6점을 얻는다 (2위의 60%).
  • '''4위''' 선수는 2.16점을 얻는다 (3위의 60%).


그 이후 순위부터는 일반적으로 60% 대신 70%의 비율이 적용되어 점수가 계산된다.

'''예시:'''

어떤 선수가 G-8 대회에서 3위를 차지했다면, 그 선수는 다음과 같이 28.8점의 랭킹 포인트를 받는다.

  • (3위 순위 점수 3.6점) × (대회 등급 G-8) = 28.8점


선수가 랭킹 포인트 토너먼트에서 포인트를 획득하면, 해당 포인트는 4년 동안 선수에게 유지된다. 4년의 기간 동안, 매년 해당 날짜가 지날 때마다 선수 랭킹에서 최초 획득 점수의 25%가 감점된다.

8. 올림픽 태권도

태권도는 1988년 서울 올림픽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었다.[29] 이는 1980년 7월 17일 모스크바에서 열린 IOC 제83차 총회에서 세계 태권도 연맹(WT)을 인정한 것이 바탕이 되었다. 대한민국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제24회 올림픽과 스페인 바르셀로나 팔라우 블라우그라나에서 열린 제25회 올림픽에서 태권도는 성공적으로 시범 경기를 선보였다.

이후 1994년 9월 4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103차 IOC 총회에서 태권도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는 결실을 보았다.[29] 이는 당시 세계 태권도 연맹 총재였던 김운용의 노력과 올림픽 운동에 대한 기여가 인정받은 결과이기도 하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태권도는 처음으로 정식 종목으로서 올림픽 무대에 등장했다. 이후 IOC 집행위원회는 태권도를 2004년 아테네 올림픽의 정식 종목으로 확정했으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도 정식 종목으로 유지되었다.

9. 비판 및 과제

2017년 6월 23일, 기존의 영문 명칭인 '세계 태권도 연맹'(World Taekwondo Federation)의 약칭 'WTF'가 영어권에서 부정적인 속어("What the fuck")를 연상시킨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부정적 이미지를 해소하기 위해 연맹은 공식 영문 명칭을 '월드 태권도'(World Taekwondo)로 변경한다고 발표했다[18][19]. 다만, 본부가 있는 대한민국에서의 공식 명칭은 '''세계태권도연맹'''으로 유지하고 있다.

참조

[1] 뉴스 Choue re-elected as head of taekwondo federation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10-12-28
[2] 웹사이트 Breakthrough deal to allow N. Koreans to compete in Olympic taekwondo competitions http://english.yonha[...] English.yonhapnews.co.kr 2014-12-29
[3]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s://web.archive.[...] World Taekwondo Federation 2014-12-29
[4] 웹사이트 Organizational structure https://web.archive.[...] Farrell's US Martial Arts and Fitness 2014-12-29
[5] 웹사이트 Organizational structure http://www.worldtaek[...] World Taekwondo Federation 2014-12-29
[6] 웹사이트 History http://www.wtf.org/w[...] World Taekwondo Federation 2014-12-29
[7] 웹사이트 WTF Rebrands to World Taekwondo http://www.worldtaek[...] 2022-04-14
[8] 뉴스 The World Taekwondo Federation was forced to change its name, thanks to the internet http://www.star-tele[...] 2017-07-11
[9] 웹사이트 Mission and Objectives (Article 2) http://www.worldtaek[...] World Taekwondo Federation 2014-12-29
[10] 웹사이트 World Taekwondo Council elects Wuxi as host of 2025 World Taekwondo Championships https://www.worldtae[...] World Taekwondo 2024-08-18
[11] 문서 Competition Rules & Interpretation (In Force as of September 1, 2022) http://www.worldtaek[...] World Taekwondo 2022-12-15
[12] 웹사이트 Competition rules & interpretation https://web.archive.[...] World Taekwondo Federation (2010) 2010-05-31
[13] 뉴스 Taekwondo Competition Rules Altered to Make Sport ‘Dazzle and Excite’ Changes Adopted at WTF General Assembly in Canada http://www.worldtaek[...] WTF 2016-11-17
[14] 웹사이트 Competition rules & interpretation http://www.wtf.org/w[...] World Taekwondo Federation 2010-11-27
[15] 웹사이트 New Competition Grading to Obtain Ranking Points http://en.mastkd.com[...] 2018-12-14
[16] 웹사이트 Global License Applications https://web.archive.[...] 2018-12-14
[17] 웹사이트 World Taekwondo Federation Ranking Bylaw http://worldtaekwond[...] 2018-12-14
[18] 뉴스 世界テコンドー連盟が改称、ネットで略称に「マイナスイメージ」 https://www.afpbb.co[...] 2017-06-25
[19] 웹사이트 “욕설로 오해” 세계태권도연맹 약자 ‘WT’로 바꾼다 http://news.heraldco[...] 2019-10-19
[20] 웹인용 World Taekwondo President's New Year Message for 2023 http://worldtaekwond[...] 세계 태권도 연맹
[21] 웹인용 세계 태권도 연맹 https://www.asoif.co[...] 국제 하계 올림픽 종목 협의회
[22] 백과사전 세계태권도연맹 창립 https://terms.naver.[...] 태권도문화연구소
[23] 백과사전 세계 태권도 연맹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4] 백과사전 세계 태권도 연맹 https://www.doopedia[...] 두산
[25] 백과사전 세계 태권도 연맹 https://terms.naver.[...] 박문각
[26] 웹인용 세계 태권도 연맹 https://uia.org/s/or[...] 국제 협회 연합
[27] 뉴스 World Taekwondo General Assembly unites on 50th anniversary http://worldtaekwond[...] 세계 태권도 연맹 2023-05-28
[28] 웹인용 COUNCIL http://worldtaekwond[...] 세계 태권도 연맹
[29] 웹인용 WTF 소개 https://web.archive.[...] 세계 태권도 연맹 2010-11-06
[30] 뉴스 “욕설로 오해” 세계태권도연맹 약자 ‘WT’로 바꾼다 http://news.heraldco[...] 2019-04-07
[31] 뉴스 세계태권도연맹(WTF), '욕설'로 들리는 이름 바꾼다 https://www.ytn.co.k[...] 2019-04-0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